파이썬 (2. 에디터,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저번에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이용한 사칙연산과 반복문, 조건문, 함수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
못보신 분들은 http://codingfor.tistory.com/10
1. 파이썬 에디터
2. 파이썬 에디터로 간단한 코드 입력
3. 파이썬 자료형이 무엇?
4. 숫자형
5. 문자열 자료형
이렇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파이썬 에디터
파이썬 에디터에는 여러가지의 에디터가 있습니다. 에디터는 편집에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파이썬 에디터 종류는 파이참, 노트패드++, 에디트 플러스, 서브라임텍스트가 있습니다.
저는 파이참을 사용 중이고, 파이참으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각자 자신에게 맞는 에디터를 쓰면 됩니다.
파이참 다운로드 : https://www.jetbrains.com/pycharm/download/#section=windows
파이참을 실행한 모습입니다.
2. 파이썬 에디터로 간단한 코드 입력
그럼 이제 파이참으로 간단한 코드를 입력해봄으로써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참에서 free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 free.py라는 파이썬 파일을 만들겁니다. 위 사진처럼 따라해주세요.
파이썬 파일을 만들고난 후 위의 사진처럼 입력해주세요.
#은 프로그램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메모 정도라고 알아두면 되겠습니다.
그 밑에 print("Hello World")는 Hello World를 출력하라는 의미입니다.
헬로우월드는 파이썬에서 처음 배울 때 많이 쓰는 문장입니다.
파이참은 이 정도까지만 해보고 앞으로 중간중간 사용하고, 복잡해지는 코드로 가면 계속 쓸 예정입니다. 기초적인 문법을 공부할 때는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이용하면서 배워볼게요.
3. 파이썬 자료형이 무엇?
파이썬에서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는 숫자나 문자열 등 자료 형태의 모든 것을 말합니다.
프로그램의 기본이 자료형입니다.
앞으로 공부해볼 숫자형, 문자열 자료형,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등 입니다.
4. 숫자형
숫자형에 대해 알아볼게요. 숫자로 이루어진 자료형이란 뜻입니다. 정수, 실수, 복소수 등등
파이썬에서 활용해보도록 할게요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인 정수형입니다. 정수에는 또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
(정수형 예시)
실수는 유리수와 무리수를 통틀어 실수라고 하는데요 실제 하는 숫자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실수형 예시)
복소수란 실수와 허수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수입니다. 예를 들어 1+2i, 4-6i 이렇게 표현되는 것들입니다.
원래는 복소수를 쓸 때 i를 쓰는데 파이썬에서는 j를 사용한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그리고 파이썬에서는 복소수의 내장함수가 존재합니다. 복소수의 내장함수에 대해 알아볼게요.
(복소수.real 예)
- 복소수.real
복소수.real은 복소수의 실수 부분을 리턴해줍니다. 리턴이란 프로그래밍에서 결과값을 출력해준다는 뜻입니다.
(복소수.imag 예)
- 복소수.imag
복소수.imag는 복소수의 허수 부분을 리턴해줍니다.
(복소수.confugate() 예)
- 복소수.confugate()
복소수.confugate()는 복소수의 켤레복소수를 리턴해줍니다.
(abs(복소수) 예)
- abs(복소수)
abs(복소수)는 복소수의 절댓값을 리턴해줍니다.
이번에는 숫자형을 활용할 수 있는 연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 사칙연산
사칙연산은 모두가 알고 있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입니다.
저번 포스팅 때 알아봤으므로 자세한건 저번 (1. 기초 준비)에서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이 글 첫 부분에 링크가 있습니다.
(제곱을 나타내는 연산 ** 예) a제곱b라는 뜻입니다.
- 제곱을 나타내는 연산 **
제곱도 연산에서 아주 중요하고 많이쓰이죠. 이런식으로 많이 쓰였었죠? a2
파이썬에서는 **로 제곱을 표현합니다.
(%를 이용한 예) 5나누기2의 나머지는 1이므로 1을 리턴함. 2나누기5의 나머지는 2이므로 2를 리턴함.
-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 %
%는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해주는 연산입니다.
(//를 이용한 예) 5나누기2의 값은 2.5이므로 //를 이용한 결과에서는 2.5에서 소수점 아랫자리 즉 0.5를 버리고 2만 리턴함.
5.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에 대해 알아볼게요. 문자열이란 문자, 단어들의 집합입니다.
간단하게 예시부터 볼게요
"Chicken is delicious and pizza is also delicious."
"123456"
이렇게 따옴표로 둘러싸여 있으면 모두 문자열입니다. 문자열을 사용할 땐 따옴표를 무조건 써줘야됩니다.
큰 따옴표만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Chicken is delicious'
"""pizza is delicious"""
'''chicken is delicious'''
이렇게 작은따옴표도 있고 중복사용도 있습니다.
따옴표는 파이썬에서 항상 문자열을 나타내는 기호로 인식을 하기때문에 활용을 잘 해야합니다.
Pizza="She's favorite food" 이런 경우는 작은따옴표가 문자열의 기호로 인식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상적으로 문자열이 출력됩니다.
그럼 문자열에 큰따옴표를 포함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He said "Me too." 를 출력시키려면
'He said "Me too."' 이렇게 작은따옴표로 둘러싸버리면 됩니다. 여기서도 작은따옴표 안의 큰따옴표는 기호로 인식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출력이됩니다.
또 다른 방법은 \(백슬래시)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만약에 키보드에 백슬래시가 안보인다면 \를 쓰면 됩니다. \는 대부분 엔터 위에 있습니다.
포함시키고픈 따옴표 앞에 \를 입력해주면 포함이 됩니다.
(백슬래시를 이용한 예 2개)
자, 이번엔 줄이 여러 줄일 때 쓰는 방법입니다. 문자열이 꼭 위에 예시들 처럼 한 줄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렇게 두 줄 이상의 문장은 어떻게 만들까요??
첫 번째 방법은 \n입니다
(\n 예)
두 번째 방법은 '''와 """입니다.
(작은따옴표 3개 '''를 이용한 예)
(큰따옴표 3개 """를 이용한 예)
아까 위에서 사용한 \n을 이스케이프 코드라고 합니다.
\n말고도 이스케이프 코드가 더있습니다.
\n : 문자열 줄을 바꿀 때 씀.
\t :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씀.
\\ : 문자 \를 문자열에서 그대로 표현할 때 씀.
\' : 문자열에서 작은따옴표를 표현할 때 씀.
\" : 문자열에서 큰따옴표를 표현할 때 씀.
오늘은 여기까지 공부하겠습니다. 다음에는 문자열 연산, 인덱싱, 슬라이싱, 포매팅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코딩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5. while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9.04 |
---|---|
파이썬 (4. 제어문의 조건문 if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7.20 |
파이썬 (3. 문자열 활용하기) (0) | 2018.07.19 |
파이썬 (1. 기초 준비를 해보자) (0) | 2018.07.19 |
파이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