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파이썬

파이썬 (1. 기초 준비를 해보자)

everything info 2018. 7. 19.
반응형

파이썬 (1. 기초 준비를 해보자)


저번에 파이썬에 대해 알아보고 다운까지 받았었습니다.

이런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1. 사칙연산

2. 변수 대입

3. 조건문 if

4. 반복문 for, while

5. 함수

6. 파이썬 에디터


이제 기초를 배우기 전에 준비를 해야겠죠? 저도 배우는 입장이라 최대한 공부하여 여러분들께 공유할 생각입니다.





저번에 다운을 받았으면 바탕화면에 이런 아이콘이 있을겁니다. 만약 없다면 시작에 들어가서 python을 검색하면 찾을 수 있을겁니다.

저는 현재 Python3.6버젼입니다.

그리고 실행을 하면 이런 창이 뜹니다. 이와 같은 것을 '대화형 인터프리터'라고 합니다.

인터프리터란 프로그램을 해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한 단계씩 해석하여 실행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제 기초적인 문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사칙연산

먼저 더하기 빼기입니다.

>>> 2+3

5

>>> 9-7

2

이렇게 입력을 해주면 결과값을 도출해줍니다. 더하기 빼기는 쉬우니까 넘어가도록 할게요.


>>> 6/3

2.0

>>> 3*3

9

곱하기 나누기입니다.

컴퓨터에서 곱하기 기호는 'x'가 아닌 '*'이고, 나누기는 '÷'이 아닌 '/'인 것을 기억하도록 합시다.

곱하기 나누기도 역시 연산만 입력해주면 결과값 도출이 나옵니다.

 



2. 변수 대입

변수란 값이 특정지어지지 않아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문자를 뜻합니다.

>>> a=3

>>> b=5

>>> a+b

8


a, b라는 변수에 각각 3, 5를 대입을 해주고 a+b의 결과 값을 도출합니다.

위에서는 변수에 숫자를 대입했고, 이번에는 변수에 문자를 대입해볼게요.


>>> a="Apple"

>>> print(a)

Apple

a라는 변수에 Apple이라는 문자를 대입했습니다. 그리고 출력 명령어인 print를 이용해 print(a)를 입력해주면 Apple이 출력됩니다.

print(a)란 a를 출력하라는 명령어입니다.


3. 조건문 if

여기부터는 보기 쉽도록 왼쪽정렬하여 쓰도록 하겠습니다.

>>> a=5

>>> if a>2:

...    print("a is greater than 2")

...

a is greater than 2


a라는 변수에 5를 대입해주고 if a>2: 라고 입력한 뒤 엔터를 눌러주면 ...이 나옵니다.

이 '...'은 아직 문장이 끝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print 앞에 들여쓰기를 해줘야됩니다.

들여쓰기 하는 방법은 Tap을 누르거나 스페이스바 4번 눌러주는 것입니다. 탭을 누르면 바로 4칸 띄워집니다. 그리고 3번째 줄을 입력해줍니다.

그러면 ...이 다시 나오고 이 상태에서 엔터를 눌러주면 if문의 종료와 함께 결과가 출력됩니다.

말로 풀어보면 a는 5이다. 만약 a가 2보다 크면 "a is greater than 2"를 출력해라입니다.

결국 5는 2보다 크기때문에 a is greater than 2라는 문자값이 출력이 됩니다.




4. 반복문 for, while

>>> for a in [2,4,6]:

...    print(a)

...

2

4

6


반복문 for을 사용한 예시입니다. 

for을 사용하는 이유는 실행해야 할 문장을 여러번 반복하여 쓸 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도 print 앞에 들여쓰기 해야한다는점 주의해주세요.

위 예시를 말로 풀이하면 [2,4,6]이라는 리스트에서 앞쪽부터 하나씩 a라는 변수에 대입한 후 print(a)를 수행하라는 의미입니다.


>>> a=0

>>> while a<4:

...    a=a+1

...    print(a)

...

1

2

3

4


반복문 while의 예시입니다. while의 영어 뜻은 '~인 동안' 입니다.

위의 예시를 말로 풀이하면 a값이 4보다 작은 동안 a=a+1과 print(a)를 수행하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a=a+1은 a의 값을 1씩 더하게 합니다. 만약 a값이 4보다 커지게 되면 while문을 나가게 됩니다.


5. 함수

>>> def sum(a,):

...    return a+b

...

>>> print(sum(1,2))

3


함수의 예시입니다.

쉽게 말하면 def는 함수를 만들 때 예약을 한다는 뜻으로 알고 있으면 됩니다. 예약어라고도 합니다.

위의 예시를 말로 풀이하면 sum(a,b)에서 a, b는 입력값이고, a+b는 결과값입니다. 즉 1, 2가 입력값으로 들어오면 1+2를 수행하고 그 결과값인 3을 돌려줍니다.


6. 파이썬 에디터

지금까지 사용한 파이썬은 '인터프리터'였습니다. 

하지만 인터프리터 만으로는 사용하는 것보단 에디터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편리합니다.

다음 포스팅 때는 파이썬 에디터 종류기초적인 작성법, 그리고 파이썬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글에서 오타나 오류가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